1

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

365일페스티벌 2022. 4. 30.

콜버그는 뉴욕 브롱스 빌에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학창 시절에 공부에 흥미가 없는 문제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대학교에 입학하면서 이 전과는 다른 학생이 되었다. 1948년에 시카고 대학교에 입학하여 1년 만인 1949년에 시카고 대학교를 졸업하였고 1958년에는 같은 대학에서 아동의 도덕적 판단에 관한 피아제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도덕성에 관한 박사학위논문을 완성하였다고 한다. 그는 도덕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1968년에 만난 제자 길리건은 이후 콜버그의 도덕 이론이 성 편향적이라고 반박하며 논쟁을 벌이게 된다. 콜버그는 1969년에 이스라엘을 방문하면서 정의 공동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예일 대학교 교수를 거쳐 하버드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1974년에 하버드 대학교의 도덕교육센터 소장으로 취임하였다. 콜버그는 인지발달을 기초로 한 도덕성 발달에 대해서 연구한 피아제의 영향을 받아 도덕적 추론 능력의 발달 이론을 더욱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콜버그의 6단계 도덕성 발달은 다른 수준의 발달 단계에서의 도덕성은 다른 수준의 인지능력을 요구한다고 보았고, 도덕적 딜레마를 사용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신의 도덕성 발달 이론을 장 피아제의 2단계 도덕성 발달 이론의 확장 형식으로서 제안하였다. 콜버그는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 딜레마를 제시하고, 최초 면접 이후 3~4년마다 한번씩, 총 20년 동안 지속적으로 면접을 실시하면서 그 대답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 지켜보았다. 이 과정에서 콜버그는 하인즈의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에 대해 어린이들이 어떠한 판단을 내렸는지가 아닌, 하인즈가 그러한 행동을 하기로 결심한 이유에 대해 어린이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콜버그는 연령에 따라서 도덕성이 발달하는 일종의 단계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중 도덕성 발달단계는 3 수준으로 나누어진다. 1 수준은 전 인습적 수준으로 전 인습적 수준의 도덕성은 사회 인습 이전의 원초적 도덕성으로, 사회의 인습이나 규칙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벌이나 물질적 보상이 도덕성 판단의 기준이 되며, 이 안에서도 2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첫 단계는 처벌과 복종에 초점을 맞춘다. 이 단계에서 개인은 도덕적 딜레마 상황 속 두 가지 관점을 함께 고려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외적으로 통제되는 도덕성에 따라, 벌을 받게 되는 행동은 나쁘고 상을 받게 되는 행동은 좋다고 간주된다. 콜버그는 이것이 주로 어린이들이 갖고 있는 수준이라고 보았으며, 사람들의 의도를 무시하고 권위에 대한 두려움과 처벌의 회피에만 집중하게 된다고 보았다. 콜버그의 둘째 단계에서 욕구 충족 수단으로써의 도덕성이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 혹은 타인의 필요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행위를 옳다고 판단한다. 여기도 욕구 충족은 부부로서의 믿음을 지킨다거나 공정한 것이 아니라, 상호 대등한 위치에서 도움을 주고받는 호혜적 관계로 일종의 교환 행위이다. 즉, 어떤 행위의 결과로 보상을 받기를 원하며, 욕구의 충족에서 오는 즐거움을 원하고 유지하고 싶어 하는 도덕적 쾌락주의의 관점을 가지고 있다. 개인은 이제 도덕적 딜레마 상황 속에서도 사람들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음을 깨닫는다. 이제 개인은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것은 좋은 것, 손해가 되는 것은 나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가장 좋은 상황은 서로에게 이익이 되게 하는 것인데, 호의를 똑같이 교환하고 서로에게 보답하는 것이 바로 그러한 경우이다. 하인츠 딜레마에 관한 두 가지 종류의 질문을 제시한 후, 내용을 분석하여 도덕성 발달 단계를 3 수준 6단계로 구분하였고, 첫 번째 질문은 하인츠가 약을 훔친다면, 그것은 옳은 행동인가, 아니면 옳지 않은 행동인가?로 등장인물의 행위가 도덕적으로 옳은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두 번째 질문은 하인츠의 행동이 옳은 행동이라고 또는 옳지 않은 행동이라고 생각한 이유는 무 억인가?로 첫 번째 대답에 대한 판단 근거를 묻는 것이다. 인습적 수준의 도덕성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기준과 기대에 부응하도록 사회 인습에 비추어 판단을 내리는 수준을 말한다. 대인 관계 조화나 법질서 준수를 도덕성 판단의 기준으로 삼으며, 두 개의 하위 단계로 나뉜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