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시기마다 직면한 심리사회적 위기와 과제가 있다고 보고, 이를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 자율성 대 회의감과 수치심, 주도성 대 죄책감, 근면성 대 열등감, 정체감 대 역할 혼돈, 친밀감 대 고립감, 생산성 대 침체 감, 자아 통합감 대 절망감 이렇게 8단계로 구별하였다. 첫 번째로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0~1세)이다. 출생 후 1년 동안의 신생아는 1차 양육자인 어머니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세상에 대한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의 심리가 발달한다. 이 시기 동안 어머니는 신생아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해주고 충분한 사랑을 주는 중요한 존재이고,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신생아는 주위 세상을 신뢰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기본적 신뢰감은 타인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낙관적 태도와 안정감에도 영향을 준다. 반면에, 어머니가 거부적이고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거나 행동에 일관성이 없으면 신생아는 주위 세상에 대한 불신감을 가지게 된다. 이처럼 양육의 질에 따라서 이 세상에 대한 신뢰 혹은 불신의 태도가 발달하게 된다. 이 시기의 위기를 잘 극복하면 희망의 덕목을 가지게 되고 부모는 아이가 사회적인 관계 형성에 바탕이 되는 기본적인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가 고프거나 기저귀가 젖어서 자신의 욕구를 표현할 때 이를 민감하게 알아차리고 일관성 있게 대처해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두 번째로는 자율성 대 회의감과 수치심이다. 생후 2~3세경의 영아기는 스스로 걷기 시작하고 주변을 탐색하며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발달시키는 시기이다. 아이는 부모의 도움을 받아서 하던 식사와 배변활동 등을 스스로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율성을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자신이 스스로 음식을 먹지 못하고 부모가 음식을 먹여 주는 행동이 지속되면, 아이는 다른 사람이 자신의 모습을 보는 것에 대해 부끄러워하며 수치심을 느끼거나 자신의 능력에 대한 회의감을 가지게 된다. 이 시기의 위기를 잘 극복하면 의지력의 덕목이 발달한다. 부모는 아이가 스스로 하려고 하는 시도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해주는 것이 좋다. 다만, 영아가 스스로 하는 활동에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음식을 먹기 편한 숟가락이나 가벼운 그릇을 주거나, 배변훈련을 위해 스스로 쉽게 입고 벗을 수 있는 옷을 입히는 것이 좋다. 세 번째는 주도성 대 죄책감(4~5세)이다. 이 시기에는 유아가 자율성을 익히고 부모로부터 더 벗어나 적극적으로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유아의 운동능력이나 지적 능력은 더욱 발달하고, 독립적인 활동을 더 많이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놀이를 통해 활동의 목표나 계획을 세워 이를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이 과정에서 주도성이 발달하게 된다. 새로운 놀이나 자기 주도적 활동에 대해 처벌하거나 금기시하고 나쁜 것으로 느끼도록 하면 죄책감이 발달한다. 이 시기의 위기를 원만하게 해결하면 목적의식의 덕목을 획득하게 된다. 부모는 유아가 집중할 때 개입하지 않고 느긋하게 기다리면서 스스로 선택하는 자유로운 상황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다만 유아가 위험한 물건을 다루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되, 심하게 구짖거나 활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네 번째로는 근면성 대 열등감(6~12세)이다. 이 시기에는 아동의 호라동 범위가 이전 시기에 비해 상당히 확대되고, 특히 학교생활에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아동은 학교를 다니면서 공부의 성취를 통해 근면성을 학습하기 시작하는데, 이것은 다른 사람의 인정과 과제의 완수로부터 오는 즐거움과 만족감을 통해 얻게 된다. 이때 부모나 교사가 건설적인 칭찬이나 적절한 강화를 주면 아동의 근면성이 발달하지만,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아동에게 조롱과 거부적인 태도를 보이면 부적합 감이나 열등감이 발달하게 된다. 위기를 잘 극복하면 유능성이라는 덕목을 가지게 된다. 부모는 아동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기회를 주고, 아동 스스로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또, 아동의 실수에 의연하게 대처하고 진심으로 격려하며, 또래와의 상대적 비교보다는 목표를 점진적으로 달성하는 과정에 의미를 두어야 한다.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 (0) | 2022.04.30 |
---|---|
에릭슨-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이론3 (0) | 2022.04.30 |
에릭슨-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이론 (0) | 2022.04.30 |
프로이트- 심리성적 성격발달이론2 (0) | 2022.04.30 |
프로이트- 심리성적 성격발달이론 (0) | 2022.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