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고츠키- 인지발달이론

365일페스티벌 2022. 4. 30.

비고츠키는 러시아 벨라루스의 오르샤에서 태어났다. 유대인 부모로부터 최상의 교육을 지원받으며 성장하였다. 18세에 이미 역사부터 철학, 예술, 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익혔으며, 이는 훗날 연구의 밑거름이 되었다. 1913년에 모스크바 대학교에 입학하여 의학과 법학을 고웁하였고, 졸업 후 호멜로 가서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모스크바로 돌아가 연구활동을 시작하였다. 다양한 학제를 아우르며 기반을 다진 그의 이론은 이후 교육학, 언어학 등 많은 분야의 연구와 실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25년 박사학위논문의 서문에서 비고츠키는 관찰 가능한 행동뿐만 아니라 내적 성찰도 심리학의 증거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고등정신 기능, 언어 발달과 사고의 관계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대표 저서 중 하나인 사고와 언어가 1934년에 출간되었다. 그는 피아제와 같은 해에 태어났으나 37세의 젊은 나이에 폐결핵으로 사망하였다. 비고츠키의 이론은 구성주의의 토대가 되고, 인지발달이 일어나는 사회문화적 기제를 보여 주는 이론이기 때문에 교육학계의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다. 인지발달과 관련된 비고츠키 이론의 핵심은 사회문화적 맥락의 중요성, 능동적 활동을 통한 지식의 구성을 위해 학생들이 학습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것을 강조했다. 기본개념은 1. 근접 발달영역이다. 학습자가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은 채 독립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실제적 발달 수준과 자신보다 뛰어난 타인의 도움을 받아 과제를 수행하는 잠재적 발달 수준 간의 차이를 말한다. 근접 발달영역은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학생의 지능검사 결과가 10세로 나타났다고 가정했을 때, 10세의 학생의 지능검사를 다시 실시하며 교사의 힌트나 시범으로 도움을 주었을 때 각 학생의 정신연령이 11세와 9세로 판명된다면, 두 학생의 실제적 발달 수준은 8세로 동일하지만 근접 발달영역은 2세와 1세로 다르다. 전통적인 검사가 각 개인에게 피드백 없이 검사를 제시하여 발달된 상태를 평가했다면, 역동적 평가는 문항을 제시하고 근접 발달영역을 확인하며 학습을 통한 변화 과정을 평가한다고 한다. 이렇듯 근접 발달영역은 미래지향적 학습능력으로 무억을 얼마나 할 수 있느냐를 뭊는 개념이고, 많은 학자가 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 방법은 ZPD평가 학습 잠재력 평가, 상호작용 평가 등으로 불리었고, 최근 포이에르 스타인이 제안한 역동적 평가라는 용어를 대부분 사용 중이다. 비고츠키는 인간의 발달은 그가 학습한 사회문화적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고, 학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탐구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학습자는 사회문화적 유산을 머넞 접한 유능한 사회 구성원, 즉 부모, 교사, 선배들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자신의 근접 발달영역 안에서 가장 활발한 인지발달을 경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능한 교사는 학습자의 잠재적 발달 수준을 평가하여 근접 발달 영역을 확인하고, 근접 발달영역 안에서 교육함으로써 학습자의 인지발달을 그의 잠재적 발달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다. 2. 비계 설정- 혼자 문제를 해결할 수 없지만 학습자가 안내와 도움을 받아서 해결할 수 있다면, 이때 필요한 안내와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비계 설정이라고 한다. 건축용어인 비계는 건물을 지을 때 층수를 올리거나 외벽에 칠을 할 때 만드는 보조물(발판)을 의미한다. 이 보조물은 작업이 끝나면 제거된다. 학습 초기에는 많은 도움을 주다가 학생이 스스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면 원래 주었던 힌트나 도움을 점차 줄여서 결국에는 도움 없이도 혼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3. 내면화- 내면화란 사회적 상호작용과 언어적 교류를 통해 받아들인 지식을 자기 내면의 사고체계에 통합하는 과정을 말하며, 지식은 이미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한 문화권에서 축적된 것이기 대문에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나 언어적 교류를 통해 그 지식을 받아들여서 내면화하게 된다. 내면화는 학습자의 외부 세계와 내부 세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인지발달이 일어나는 기제로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이때 언어의 사용은 복잡한 지식과 개념을 내면화하는 데 핵심적인 소요다. 비고츠키의 이론에서 언어와 사고의 밀접한 관계를 강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