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1 학교 e알리미 PC버전 손쉽게 가입하기 e알리미는 학교뿐만 아니라 지금은 아파트, 관공서, 기업, 단체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학교에선 가정통신문을 종이로 받아 신청서를 수기로 적고 제출했었죠. 하지만 지금은 어플이나 PC를 통해 회신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가입방법은 아래 내용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e알리미 검색 및 가입하기 네이버나 구글에 e알리미를 검색하시고 접속해주시고 클릭해주세요. 지금부터 e알리미 PC버전 가입방법을 알려드릴테니 천천히 잘 따라하셔서 유용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학교 e알리미 PC버전은 앱으로도 가능하며, PC설치는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학교 e알리미 바로가기 일반 회원(만14세 이상) 클릭 해주세요. 가입자의 휴대폰 번호 또는 이메일을 입력하고 인증 해주세요. 가입하려는 기관이 e알리미를 사용하.. 교육관련 2022. 7. 14. 고등학교생활기록부 집에서도 간단하게 발급 가능! 고등학교생활기록부 집에서도 간단하게 발급할 수 있는 방법 아시나요? 찾아가지 않아도 집에서 고등학교 생활기록부 발급받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졸업한 연도에 따라 발급받는 방법이 다르니 꼭꼭 확인하셔서 발급받으시길 바랍니다! 고등학교 졸업 연도 체크하기 2017년 2월 이후 졸업생 2003년 이후 졸업생 2003년 이전 졸업생 교육청이나 교육지원청, 각급 학교 및 지자체를 방문하여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집 근처 초,중,고에서도 발급 가능하며 지자체 이용 시 FAX민원으로 발급됩니다. 고등학교 생활기록부 발급절차 고등학교 생활기록부 발급 전 준비물: 공동 인증서 및 공인인증서 등 개인인증수단 PC 또는 모바일 어플을 통하여 발급이 가능하고 전자문서나 직접 인쇄도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교육관련 2022. 7. 12. 과학철학의 정의 및 설명 과학철학은 철학의 한 갈래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과학의 방법이나 과학적 인식의 기초에 대한 철학적 탐구입니다. 자연 과학의 성과를 분석하고 반성하여 과학적인 개념을 규정하고 과학의 전제를 세우며 방법을 탐구하는 분야입니다. 과학철학의 중심 논제는 과학의 자격, 이론의 신뢰성, 과학의 궁극적 목적입니다. 과학 철학에서는 현대문명의 과학화 때문에 철학 문제도 기계적이며 집단적인 과학 논리의 분석적 조작으로 해결하려는 입장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과학 철학에서는 개인의 사변적 방법에 의한 철학을 배척합니다. 이와 달리 근대 이전에 자연을 철학으로서 고찰하려는 입장을 자연 철학이라 합니다. 그리고 과학의 입장에서 철학을 비판할 경우에는 철학 비판이라고 합니다. 과학 철학의 많은 주요 문제들에 대해 철학자들 사이에.. 1 2022. 6. 18. 현대철학- 후설의 현상학 에드문트 후설에서 의해서 창시된 철학을 현상학이라고 부릅니다. 신칸트 학파와 같이 대상을 의식 또는 사유에 의해서 구성하는 논리적 구성주의에 서지 않고, 분석철학과 달리 객관의 본질을 진실로 포착하려는 데에 철학의 중심으로 두는 것입니다. 경험과 의식의 구조들을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상학의 선구자는 베른하르트 볼차노의 논리학과 프란츠 브렌타노의 심리학을 들 수 있습니다. 볼차노는 명제가 나타내는 의미는 그 진위에 상관없이 주관에서 독립하여 그 자체로 성립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브렌타노는 이와 같은 객관적인 진리의 심리학적 포착을 중심 문제로 삼습니다. 그는 의식이란 무엇에 관한 의식이라는 점에 주의하여, 의식 현상의 본질은 대상을 지향하는 데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브렌타노의 제자 알렉.. 1 2022. 6. 16. 분석 철학- 시대적 구분 이전글에는 시대적 구분 1기에대하여 잠시 알아봤습니다. 이번엔 2~4기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기(1920-1945년 전후) 분석철학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빈 학파가 제창한 논리 실증주의 혹은 논리 경험주의의 단계에서입니다. 1920년대에 오스트리아 빈에서 슐리크의 지도로 결성되고 카르납 등이 주축이 된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의 집단이 바로 빈학파이며, 라이헨바하가 주축이 된 베를린 학파도 이들과 모토를 같이 하였습니다. 이들은 흄의 철학적 정신을 충실히 이어받아 실증적(과학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형이상학을 배격하고 의미 있는 과학 언어의 내용은 경험적이며 형식은 논리적이어야 한다는 원칙을 내세웠습니다. 이들이 생각한 철학 역시 이러한 과학적 언어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었습니다. 빈 학파.. 1 2022. 6. 14. 현대철학- 분석철학 현대철학 안에도 여러 가지 철학들을 살펴볼 수가 있습니다. 그중 오늘 알아볼 내용은 분석철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분석철학은 철학 연구에서 언어분석의 방법이나 기호 논리의 활용이 불가결하다고 믿는 이들의 철학을 이야기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분석철학은 특정한 인생관이나 세계관을 토대로하여 고정된 이데올로기를 내세우는 학파가 아니라 철학하는 방법이 논리적 언어적 초점에 맞추어진 경향이 유사한 학파를 지칭합니다. 실존주의나 현상학 그리고 토미즘과 막시즘과 같은 대륙의 철학들과 대조적입니다. 현대 이전의 분석철학은 플라톤에 의해 시도되었고, 근대에 데카르트와 토마스 홉스와 같은 사람들에 의해서 다시 사용되었습니다. 본격적인 현대 분석철학이 발전되어 온 과정은 4기로 구분하여 논할 수 있습니다. 1기(1900~19.. 1 2022. 6. 12.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51 다음 💲 추천 글